알고리즘 공부💥/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카카오기출 / 표편집 / python

hyunsix 2021. 8. 29. 16:44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니니즈웍스의 인턴인 앙몬드는 명령어 기반으로 표의 행을 선택, 삭제, 복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제를 맡았습니다. 세부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칠해진 칸은 현재 선택된 행을 나타냅니다. 단, 한 번에 한 행만 선택할 수 있으며, 표의 범위(0행 ~ 마지막 행)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이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표를 편집합니다.

  • "U X": 현재 선택된 행에서 X칸 위에 있는 행을 선택합니다.
  • "D X": 현재 선택된 행에서 X칸 아래에 있는 행을 선택합니다.
  • "C" : 현재 선택된 행을 삭제한 후, 바로 아래 행을 선택합니다. 단, 삭제된 행이 가장 마지막 행인 경우 바로 윗 행을 선택합니다.
  • "Z" : 가장 최근에 삭제된 행을 원래대로 복구합니다. 단, 현재 선택된 행은 바뀌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위 표에서 "D 2"를 수행할 경우 아래 그림의 왼쪽처럼 4행이 선택되며, "C"를 수행하면 선택된 행을 삭제하고, 바로 아래 행이었던 "네오"가 적힌 행을 선택합니다(4행이 삭제되면서 아래 있던 행들이 하나씩 밀려 올라오고, 수정된 표에서 다시 4행을 선택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다음으로 "U 3"을 수행한 다음 "C"를 수행한 후의 표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다음으로 "D 4"를 수행한 다음 "C"를 수행한 후의 표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5행이 표의 마지막 행 이므로, 이 경우 바로 윗 행을 선택하는 점에 주의합니다.

다음으로 "U 2"를 수행하면 현재 선택된 행은 2행이 됩니다.

위 상태에서 "Z"를 수행할 경우 가장 최근에 제거된 "라이언"이 적힌 행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다시한번 "Z"를 수행하면 그 다음으로 최근에 제거된 "콘"이 적힌 행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이때, 현재 선택된 행은 바뀌지 않는 점에 주의하세요.

이때, 최종 표의 상태와 처음 주어진 표의 상태를 비교하여 삭제되지 않은 행은 "O", 삭제된 행은 "X"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 표의 행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 처음에 선택된 행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수 k, 수행한 명령어들이 담긴 문자열 배열 cm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명령어를 수행한 후 표의 상태와 처음 주어진 표의 상태를 비교하여 삭제되지 않은 행은 O, 삭제된 행은 X로 표시하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5 ≤ n ≤ 1,000,000
  • 0 ≤ k < n
  • 1 ≤ cmd의 원소 개수 ≤ 200,000
    • cmd의 각 원소는 "U X", "D X", "C", "Z" 중 하나입니다.
    • X는 1 이상 300,000 이하인 자연수이며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 X가 나타내는 자연수에 ',' 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23,456의 경우 123456으로 주어집니다.
    • cmd에 등장하는 모든 X들의 값을 합친 결과가 1,000,0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 표의 모든 행을 제거하여, 행이 하나도 남지 않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본문에서 각 행이 제거되고 복구되는 과정을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 "이름" 열을 사용하였으나, "이름"열의 내용이 실제 문제를 푸는 과정에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이름"열에는 서로 다른 이름들이 중복없이 채워져 있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해결해 주세요.
  • 표의 범위를 벗어나는 이동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원래대로 복구할 행이 없을 때(즉, 삭제된 행이 없을 때) "Z"가 명령어로 주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정답은 표의 0행부터 n - 1행까지에 해당되는 O, X를 순서대로 이어붙인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정확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 사항

  • 5 ≤ n ≤ 1,000
  • 1 ≤ cmd의 원소 개수 ≤ 1,000

효율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 사항

  • 주어진 조건 외 추가 제한사항 없습니다.

입출력 예

nkcmdresult

8 2 ["D 2","C","U 3","C","D 4","C","U 2","Z","Z"] "OOOOXOOO"
8 2 ["D 2","C","U 3","C","D 4","C","U 2","Z","Z","U 1","C"] "OOXOXOOO"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다음은 9번째 명령어까지 수행한 후의 표 상태이며, 이는 입출력 예 #1과 같습니다.

10번째 명령어 "U 1"을 수행하면 "어피치"가 적힌 2행이 선택되며, 마지막 명령어 "C"를 수행하면 선택된 행을 삭제하고, 바로 아래 행이었던 "제이지"가 적힌 행을 선택합니다.

따라서 처음 주어진 표의 상태와 최종 표의 상태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한시간 안내

  • 정확성 테스트 : 10초
  • 효율성 테스트 : 언어별로 작성된 정답 코드의 실행 시간의 적정 배수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1303

 

코딩테스트 연습 - 표 편집

8 2 ["D 2","C","U 3","C","D 4","C","U 2","Z","Z"] "OOOOXOOO" 8 2 ["D 2","C","U 3","C","D 4","C","U 2","Z","Z","U 1","C"] "OOXOXOOO"

programmers.co.kr

 

🤔접근법

1. 우선 n이 100만개고 cmd 원소의 갯수도 20만개이기 때문에 일반 배열 2중 for문을 통해 O(n^)으로 풀게되면 효율성을 통과할수가 없었다..(효율성 점수 배분이 100점 만점에 70점이나 차지하고 있었다)

2. 그래서 연결리스트를 통해 풀어야 한다.

3. 연결리스트는 아래의 특징을 가진 친구이다. 삽입, 삭제할 때 일반 배열보다 훨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메모리 효율성이 upup한다. 

4. 이 문제에선 up, down 리스트를 2개 만들어서, 예를 들어 up[k]가 뜻하는 바는 k가 위로 1칸 갔을 시 값을 가지도록 (down도 반대 방향으로 마찬가지) 설정하여 문제를 푼다.

예를 들어 위로 4칸을 움직여라! 라는 커맨드라면

k = up[k]를 4번 반복함으로서 k값을 구한다.

 

5. up리스트엔 맨 앞에 'blank'를, down리스트엔 맨 뒤에 'blank'를 주어서 만약 맨 위 or 맨 아래의 k일 경우 up[k] or down[k]가 'blank'를 가리키게 만들어서 그에 따른 분기를 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5. 글로만은 사실 설명이 잘 안되므로 직접 그림도 그리고 up과 down이 변하는 flow를 살펴보면서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def solution(n, k, cmd):
    answer = ['O' for _ in range(n)]
    up = ['blank'] + [x for x in range(n - 1)]
    down = [x for x in range(1, n)] + ['blank']
    delete_stack = []

    for command in cmd:
        c = command.split()
        if c[0] == 'U':
            count = int(c[1])
            for _ in range(count):
                k = up[k]

        elif c[0] == 'D':
            count = int(c[1])
            for _ in range(count):
                k = down[k]

        elif c[0] == 'C':
            delete_stack.append(k)
            answer[k] = 'X'

            # up[k]가 blank라는 뜻은
            # k가 현재 살아있는 리스트중 맨 위에 있다는 뜻
            # 삭제 후 아래에서 k재정의할 때 현재 k의 바로 아래칸으로 설정할 것이기 때문에
            # down[up[k]]를 설정하지 않아도 됨
            # down[k]도 마찬가지
            # 따라서 up[k], down[k]가 'blank'가 아닐 경우만 각각 체크하고 up, down 연결리스트를 업데이트해줌

            if up[k] != 'blank':
                # 만약에 k가 2 였고
                # up = ['blank', 0, 1, 2, 3, 4, 5, 6]
                # down = [1, 2, 3, 4, 5, 6, 7, 'blank'] 였으면
                # 2번째 노드가 사라지는 셈이니깐
                # down으로 2번째 노드로 향하는 친구를 바꿔줘야함
                # 즉 down[x] == 2 인 친구를 기존의 k가 down됐을 때 친구로 바꿔줘야함
                # 여기서 x를 구하는 방법은 기존의 k기준으로 한칸 위인 친구임
                # 그러므로 down[원래 k기준으로 한 칸 위에 있는 친구 (down일 시 k로 향했던 친구)] = 원래 k가 down됐을 때 친구로 설정
                down[up[k]] = down[k]

            if down[k] != 'blank':
                up[down[k]] = up[k]

            # 만약 기존의 k가 한 칸 더 내려갔을 때 blank면 맨 아래위치했다는 소리니깐 k를 기존의 k보다 한 칸 위로 설정하고
            # 아니면 기존의 k보다 한 칸 아래로 설정
            k = down[k] if down[k] != 'blank' else up[k]

        elif c[0] == 'Z':
            d = delete_stack.pop()
            answer[d] = 'O'

            # 위의 'C'와 로직은 같음 이번의 경우 회생시키는 것이니깐 지웠던 d를 넣어줌.
            if up[d] != 'blank':
                down[up[d]] = d

            if down[d] != 'blank':
                up[down[d]] = d

    ans = ''
    for a in answer:
        ans += a

    return ans​

 

💥test case 1의 k, up, down flow

k : 2
up : ['blank', 0, 1, 2, 3, 4, 5, 6]
down : [1, 2, 3, 4, 5, 6, 7, 'blank']
k : 4
up : ['blank', 0, 1, 2, 3, 4, 5, 6]
down : [1, 2, 3, 4, 5, 6, 7, 'blank']
k : 5
up : ['blank', 0, 1, 2, 3, 3, 5, 6]
down : [1, 2, 3, 5, 5, 6, 7, 'blank']
k : 1
up : ['blank', 0, 1, 2, 3, 3, 5, 6]
down : [1, 2, 3, 5, 5, 6, 7, 'blank']
k : 2
up : ['blank', 0, 0, 2, 3, 3, 5, 6]
down : [2, 2, 3, 5, 5, 6, 7, 'blank']
k : 7
up : ['blank', 0, 0, 2, 3, 3, 5, 6]
down : [2, 2, 3, 5, 5, 6, 7, 'blank']
k : 6
up : ['blank', 0, 0, 2, 3, 3, 5, 6]
down : [2, 2, 3, 5, 5, 6, 'blank', 'blank']
k : 3
up : ['blank', 0, 0, 2, 3, 3, 5, 6]
down : [2, 2, 3, 5, 5, 6, 'blank', 'blank']
k : 3
up : ['blank', 0, 0, 2, 3, 3, 5, 6]
down : [2, 2, 3, 5, 5, 6, 7, 'blank']